2018. 4. 24. 00:44ㆍ사주만담(四柱万談)
일주(日柱) 천간(天干)과 대조하여 일주와 동등한 오행을 비견(比肩)이라고 하며, 음과 양이 다른것을 겁재(刧財)라 한다.
일주(日柱)가 생(生)하는 것을 같은 양이나 음은 식신(食神)이라고 하며, 음 양이 다른것을 상관(傷官)이라고 한다.
일주(日柱)가 극(剋)하는 것을 걑은 양이나 음은 편재(偏財)라고 하고 음과 양이 다른것을 정재(正財)라고 한다.
일주(日柱)를 극(剋)하는 것을 같은 양이나 음은 편관(偏官)라고 하고 음과 양이 다른것을 정관(正官)라고 한다.
일주(日柱)를 생(生)하여 주는 것중 음양이 같은 것을 편인(偏印)이라고 하며 양과 음이 다른것을 정인(正印)이라 한다.
십신(十神)은 일간을 위주로 하여 표출하되 지지(地支)도 천간(天干)으로 비유하여 대조한다.
1.비견(比肩)
비견(比肩)은 일주와 오행도 같고 음양도 같은 것을 말한다.
사주에 비견(比肩)이 많으면 우선 형제가 많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산아제한하는 현재에는 적중하지 못하다.
주(柱)중에 재성이 막강하고 편관(偏官)과 정관(正官)이 많으면 비견도 용력의 힘이 되어 좋으나 재성이 약한데 신강이면 비견(比肩)이 해롭다.
주(柱)중에 비견(十神)이 월령이거나 국이 되면 사람이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며 필요 이상으로 자존심이 강하여 청빈한 생활을 하게된다.
비견(比肩)이 많으면 형제간에 우애가 적고 재물로 인하여 서로 다투며 부모와도 조별하게 된다.
주(柱)중에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많으며 신약이면 비견(比肩)이 하나 둘 쯤은 괜찮으나 비견(比肩)은 주(柱)중에 하나만 있어야 아름답다.
비견(比肩)은 자기 중심 사고방식 소유자가 많다.
비견(比肩)과 겁재(刧財)가 같이 있으면 부부간에 정이 없다.
2.겁재(刧財)
겁재는 일주와 오행은 같으나 음양이 다른것을 말한다.
겁재도 비견과 같이 형제 또는 자매로 보기도 하지만 겁재는 이복형제 등으로 보며, 또 겁재가 많으면 여자는 첩 꼴을 보아야 하며 속을 썩어야 한다.
겁재가 화개와 동주하면 첩에게 안방을 빼앗긴다.
사주에 겁재가 많으면 재물로 인하여 구설수가 많고 축적하는 것이 없다.
겁재가 많으면 계모나 서모, 또는 양부모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신약이면 겁재는 큰 도움이 되지만, 신강에 겁재는 글자 그대로 재물을 겁탈하고 가정도 파멸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겁재가 많으면 처가 부정하고생활이 불안정하다.
겁재는 극처, 극자하니 없는 것이 좋다.
사주에 양인 살이 있고 겁재가 있으면 주색에 폭력적이며 재살과 같이 있으면 항시 교도소를 면하기 어렵다.
'사주만담(四柱万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기초, 편재(偏財)와 정재(正財) (0) | 2018.04.24 |
---|---|
역학기초, 식신(食神)과 상관(傷官) (0) | 2018.04.24 |
역학기초, 편중살(偏中殺) (0) | 2018.04.23 |
역학기초, 십이신살(十二神殺) (0) | 2018.04.22 |
역학기초, 지지(地支) 상충(相沖) (0) | 201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