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7)
-
역학기초, 임수(壬水)와 계수(癸水)
임수(壬水)1.성질과 모양임수는 대하수로서 물방울이 바다까지 가는 동안에 많은 것을 보고, 겪고, 느끼게 되므로 박식하고 시야가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임수의 방향은 북방이고 양에 해당하며 지혜를 뜻합니다.임수는 큰 강물이나 바다호수와 같은 많은 양의 물을 의미합니다.즉, 양수로서 바다와 같이 커다란 물이며, 역마, 여행, 출장, 관광 등 움직이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임수는 박식하고 지혜가 있으며 외향적입니다.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 한다고 하며 물은 계속 움직임이 있습니다.임수는 지혜롭고 창의력이 있습니다.임수는 전 세계를 돌아다니는 바다요, 큰 물이므로 여행도 장거리로 합니다.관광여행을 하더라도 선지국 보다는 남들이 가지 않는 오지여행을 더 좋아하며 호텔에서 안자고 민박을 더 좋아합니다.2.행운(..
2018.05.09 -
역학기초, 무토(戊土)와 기토(己土)
무토(戊土) 1.성질과 모양 무토는 4계절을 모두 포함하고 방향은 중앙이며 양에 해당합니다. 무토는 성곽토이며 농사짓기 위한 흙이 아닌 딱딱하게 굳은 흙입니다. 선의를 뜨하며 무토는 높고도 큰 산, 넓은 들판, 강과 호수를 막는 제방, 높은 언덕이나 고개, 성곽이나 축대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무토는 크고 무거우며 사주원국에 있으면 입이 무겁고 보수적이며 비밀스럽습니다. 중립을 의미하면서도 대립과 파벌의 상징이 되기도 합니다. 사주원국에 무토가 있으면 먼저 공격하지 않습니다만, 상대방이 공격하면 죽기 살기로 싸웁니다. 싸울 잠재력은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비사교적이라 파벌 싸움에 휘말립니다. 일주가 무토이면 균형을 잡아 주므로 미남과 미인이 많습니다. 2.행운(行運) 무토 대운에 회사를 다닌다면 파벌다툼이..
2018.05.07 -
역학기초, 병화(丙火)와 정화(丁火)
병화(丙火)1.성질과 모양병화(丙火)는 양의 불이며, 태양을 의미하므로 높고 넓은 의미가 있습니다.또한 병화(丙火)는 태양, 전기, 연료, 화약, 폭발물, 방사선, 화공약품 등에 비유하기도 합니다.방향은 남방이고, 오행은 화에 속하고 예의를 뜻합니다.승진과 바깥 활동을 의미하기도 합니다.병화(丙火)는 스스로 빛을 냅니다.열이 나면 무엇이든지 태워서 내 것으로 만들려 하므로 포용력이 있습니다.성질이 불같다고 할 수 있는데 화가 나면 불덩어리 같으나 사그라지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사근사근해 집니다.따라서 병화(丙火) 일주는 일반적으로 적극적이고 남과 다투더라도 금방 풀어지고 원수도 맺지 않으며 원한을 사지도 않습니다.병화(丙火)는 과열적이고 정열적이므로 병화를 가진 여성은 치맛바람을 날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2018.05.06 -
역학기초, 을목(乙木)
1.성질과 모양 을목(乙木)은 계절로 보면 새싹이 돋아나는 봄이요, 방향은 동방에 속하고 음에 해당합니다. 을목(乙木)은 화초이며 새를 의미합니다. 화초목은 남에게 기쁨을 주기 위하여 존재합니다. 꽃을 보는 사람의 마음은 기쁘고 즐겁다고 보아야 하겠습니다. 따라서 을목(乙木)은 어디서나 잘 어울립니다. 을목(乙木)은 새같이 지껄이고 수다를 잘 떨고, 노래도 잘 합니다. 사주원국이나 운시에 을목(乙木)은 말을 잘 하고 사회도 잘 봅니다. 사주원국에 을목(乙木)이 두 개 이상 있으면, 입이 여러개 있는 것과 같으니 말이 맣고 청사유수입니다. 원국에 을목(乙木)이 있으면, 단거리 여행을 많이 다니고 사교적 능력이 있습니다. 외면적으로는 환경에 적응력이 강하지만, 내면에는 강인성이 내포되어 있어 의외로 고집이 ..
2018.05.06 -
역학기초, 갑목(甲木)
1.성질과 모양 갑목(甲木)은 방향은 동방에 속하고 양에 해당합니다. 오행은 목에 속하고 인을 주도하며 성장과 발전을 뜻하고, 또한 대림목, 동량지목, 양목, 강목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갑목(甲木)은 천간의 첫째로서, 물상으로는 큰 나무입니다. 그 의미는 지도자, 장남, 맏며느리 등이며, 사람들을 이끌어 가는 교육, 종교, 재주, 노리, 변동 등의 의미도 있습니다. 우두머리는 점잖고, 아는 것도 많아야 하므로, 공부를 열심히 하고 교육도 많이 받습니다. 갑목(甲木)이 높은 위치에 있으면 겸손하여야 하며, 따라서 욕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갑목(甲木)은 군자이고 형이라 스스로 생각하므로, 군자는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 논리적으로 합니다. 러한 군자의 행위는 정직, 순진, 통솔력, 설득력이 있다고 보게 되..
2018.05.04 -
역학기초,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2
무진술 토 무와 진술은 오행 가운데 토에 속한며 절후로는 늦 봄과 늦 가을에 해당한다.방각은 중앙이고 동서를 끼고 있다.상징적 동물은 진은 용이고 술은 개가 되며 맛은 달고 냄새는 향내이다.지지중 진, 술 , 축, 미는 사계절의 간방에서 계절의 이음 역할을 하는 것이다봄과 여름의 중간은 진이고 여름과 가을의 중간은 미이여 가을과 겨울의 중간은 술이고 겨울과 봄의 중간은 축인 것이다.오행의 목, 화, 토, 금, 수는 각기 간방에서 쇠하여지는 것이다.무의 진, 술은 3월과 9월을 상징한는 토이다.토는 만물을 함유하는 성품으로 항상 느긋하며 여유 만만한 성격이다.사주 전체가 토로 일관하면 게으르고 빈한하며, 사주중에 목이 하나쯤 있으면 늦게 큰 재물이 넝쿨채 굴러온다. 기축미 토기와 축, 미는 오행 가운데 토..
2018.05.01